티스토리 뷰
소개
최근 화제가 되었던 환급 정책이 있습니다.
어려운 경제로 한 푼이 아쉬운 상황에서 관심을 갖는 분들이 많았습니다.
바로 자동차 채권 환급금입니다.
오늘은 자동차 채권 환급금 조회 방법과 소멸시효를 비롯해 관련한 정보를 알아보겠습니다.
자동차 채권 환급금이란?
지역개발채권 미환급금 일제 상환 제도가 정식 명칭입니다.
차량을 구매할 때 약 4%~12% 채권을 의무 매입하게 되어 있습니다.
자치단체에 차량 등록을 하거나 각종 인허가를 받아야 할 때, 또 자치단체와 용역, 공사, 물품 계약 등을 체결할 때
의무적으로 매입하는 채권입니다.
매입 비율은 지역과 차량에 따라 다른데, 만약 배기량 2000cc미만 차량을 구매한다면 서울에서는 12%를 의무적으로
매입해야하고, 대전은 차량가 기준으로 4%, 강원도는 8%에 속하는 비율을 매입하게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후 채권 만기 시기인 5~7년이 지난뒤 해당 채권을 돌려받게 되는데, 현재도 20억원 가량의 채권 환급이 이뤄지지
않고 있을 정도로 구매자들이 잘 모른채 지나치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동차 채권 환급금 조회는 기존에는 당사자가 은행에 직접 방문해 환급 신청을 해야 했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각종 금융기관 홈페이지와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해 환급금을 수령할 수 있게 하고 있습니다.
자동차 채권 환급금 조회 간단한 방법
신청 가능 은행은 하나은행,농협은행,신한은행 외 지역은행입니다.
다만 지역마다, 지점마다 상환방법이 다르니(온라인 상환,방문상환)이는 반드시 직접 영업 지점에 문의하셔야 합니다.
주의할 점은 현재 거주 중인 지역이 아니라 자동차를 구매한 지자체 담당 은행에서 조회가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1.농협은행
농협은행은 홈페이지/앱 메뉴 탭의 [공과금]-[지역개발채권]-[미상환채권조회/상환]을 클릭하면 확인 가능합니다.
2.하나은행
하나은행은 PC웹사이트/스마트폰 앱 '하나원큐'에 접속해 메인 메뉴의 [공과금]-[지역개발채권]을 선택하면 됩니다.
3.신한은행
신한은행은 PC웹 온라인으로는 신청이 불가하며, 앱 신한 쏠(SOL)을 이용해야 합니다.
메인화면 하단 [전체메뉴]-[공과금]-[공채업무]-[만기매도]를 클릭하시면 자동차 채권 환급금 조회 진행이 가능합니다.
4.지역은행
부산은행,광주은행,전북은행,대구은행 등에서도 마찬가지로 홈페이지/앱을 통해 [공과금] 탭을 클릭하시면
미상환 채권에 대한 내용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2023년 3월 자동차 채권 개선안
올해 3월 1일부터는 1,600cc미만의 차 혹은 2천만원 미만 소액의 차를 구매할 경우는 채권 구입을 의무적으로 하지 않아도 된다고 합니다. 지금은 1,600cc미만의 차를 살 경우 9%가량을 반드시 매입해야 하는데, 이제는 이 금액을 내지 않아도 되는 것입니다.
환급금 소멸 시효
여기까지 자동차 채권 환급금 조회 및 신청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원금 10년, 이자는 5년이라는 소멸 시효가 존재합니다. 기간은 여유로운 편이지만 적극적으로 찾아보지 않으면 당장 눈에 보이지 않는 자산이라 잊기 쉽습니다.
혹시 잊고 있었다면 지금이라도 조회해서 늦지 않게 환급받으시기 바랍니다.